목록2025/03 (2)
영주의 개발노트

글또 10기도 어느덧 이 글을 마지막으로 마무리하게 되었다. 글또를 모르는 분들이라면 아래에서 확인하길 바란다. 글또 - 글쓰는 또라이가 세상을 바꾼다글쓰는 개발자 모임, 글또입니다geultto.github.io9기부터 시작해서 10기까지 약 1년간의 글또 여정을 거치며 내 기준에서 많은 글을 작성했다. (원래 0에서 N까지 가는 것이 제일 어렵고 성장세가 커 보이는 법 ㅎ) 이 활동을 하면서 글감이 막 떠올라 작성할 생각에 설레었던 적도 있고, 마감에 쫓겨 후다닥 작성했던 기억도 있다. 주로 후자가 더 많았던 것 같긴 하다. 글또를 하면서 깨닫게 된 생각 2가지를 공유하고 앞으로의 계획 같은 것도 작성해보고자 한다. 1. 글 쓰는 건 생각보다 어렵지않다이전에는 개발 글을 작성한다 를 굉장히 잘 알고..

최근 프로젝트 진행 중 코루틴 컨텍스트에 대해 잘 알지 못하여 엄청난 삽질을 한 적이 있다. 어영부영 해결법은 알아내서 이슈는 잠재웠지만 제대로 이해하고 싶었다. 그렇기에 지금부터 코루틴을 뽀개보려한다. 여러 글에 걸쳐 차근차근 코루틴부터 코루틴 컨텍스트까지 공부할 것이다. 코루틴이 등장한 이유 💡기존에 우리는 비동기 프로그래밍을 위해 쓰레드와 콜백을 주로 사용했다. 하지만 이 방식들은 각각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. 1) 쓰레드 방식의 문제비용이 크다: 쓰레드는 생성과 관리에 많은 리소스를 필요로 한다. 또한, 다량의 쓰레드를 실행하면 시스템 부하가 커진다.컨텍스트 스위칭 오버헤드: 여러 개의 쓰레드가 실행될 때, CPU가 쓰레드 간 전환을 수행하면서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.동기화 문제: 여러 쓰레드가..